초록:
본 연구는 동애등에(Ptecticus tenebrifer)의 life cycle의 전반적인 활용 가치에 관한 연구이다. 동애등에 유충, 탈피각, 성충을 얻기 위해 전용 생육 장치를 고안 및 제작하였다. 1령 유충을 밥, 소고기, 돼지비계, 양배추에 각각 넣고 분해 정도를 파악한 결과 양배추를 제외하고 분해가 잘되었으며, 재활용품을 이용해 제작한 심지 화분에 생성된 분변토에 넣은 후 RcBr(Rapid cycling Brassica rapa)의 생장률을 확인한 결과 오히려 분변토에서 생장률이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생성된 분변토 속 유해 유기물이 식물 생장에 영향을 미치기에 후처리 공정을 통해 배양토로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탈피각을 채취하여 폐건전지 수용액의 중금속 흡착 정도를 SEM-EDS로 측정한 결과 다공성 구조로 Zn 2+ , Mn 2+ 을 효율적으로 흡착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탈피각을 섞은 배양토에서 RcBr의 생장률이 높았으며, 중금속을 처리하였을 경우 생장률은 감소하였지만, RcBr의 줄기 색깔이 보라색으로 안토시아닌 색소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탈피각의 비료 로써 활용 가치를 시사하며, 탈피각의 중금속 흡착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와 안토시아닌 발현 식물의 양이온 교환에 따른 토양 속 중금속 흡수를 통해 토양 정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탈피각의 키틴 성분으로 합성한 키토산을 엽면시비하여 RcBr의 줄기 길이와 엽면 너비를 확인한 결과 생육량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버려지는 탈피각의 활용 가치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성충을 통해 고체 바이오 디젤을 제작하였으며, 성충 1마리당 0.1g으로 약 63.3%의 수득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제작한 바이오 디젤의 열량은 0.35kcal로 미래 에너원으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이다.
주제어: 아메리카 동애등에(Ptecticus tenebrifer), 음식물 분해, 중금속 흡착, 키토산, 바이오 디젤(Bio-diesel)